朝鲜王朝时的弘文馆主要是干什么的
答案:3 悬赏:10 手机版
解决时间 2021-04-14 10:19
- 提问者网友:临风不自傲
- 2021-04-13 19:47
朝鲜王朝时的弘文馆主要是干什么的
最佳答案
- 五星知识达人网友:冷風如刀
- 2021-04-13 19:55
1463年(朝鲜世祖9年)根据梁诚之的建议创立了弘文馆的前身藏书阁,1478年(成宗九年)创立弘文馆
홍문관 [弘文馆]
요약
조선시대에 궁중의 경서(经书) ·사적(史籍)의 관리, 문한(文翰)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.
본문
옥당(玉堂)·옥서(玉署)·영각(瀛阁)이라고도 하며, 사헌부(司宪府)·사간원(司谏院)과 더불어 이른바 언론(言论) 삼사(三司)라고 한다. 조선시대 청요직(淸要职)의 상징으로서 정승·판서 등 고위 관리들은 거의 예외없이 이곳을 거쳐갔다.
홍문관의 일은 본래 정종 때 설치한 집현전(集贤殿)에서 맡아 하였는데, 집현전 학자들 가운데 세조의 왕위찬탈에 반대하여 단종복위를 꾀한 사육신이 나왔다. 이에 세조는 집현전을 혁파하고 예문관(艺文馆)에서 그 기능을 맡게 하였다. 이후 1463년(세조 9) 양성지(梁诚之)의 건의에 따라 장서각(藏书阁)을 홍문관이라 하였으나 이때의 홍문관은 장서(藏书) 기관의 역할만 하였다. 학술·언론기관의 기능은 여전히 예문관에 속하였으나 온전히 수행되지 못하다가 1478년(성종 9) 옛 집현전의 직제를 예문관에서 분리하여 홍문관에 이양함으로써 비로소 학술·언론기관의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.
그 구성원은 영사(领事:정1품)·대제학(大提学:정2품)·제학(提学:종2품)·부제학(副提学:정3품)·직제학(直提学:정3품)·전한(典翰:종3품)·응교(应敎:정4품)·부응교(副应敎:종4품) 각 1명, 교리(校理:정5품)·부교리(副校理:종5품)·수찬(修撰:정6품)·부수찬(종6품) 각 2명, 박사(博士:정 7품)·저작(著作:정8품) 각1명, 정자(正字:정9품) 등인데, 3정승을 비롯해서 경연청(经筵厅)과 춘추관(春秋馆) 등의 관원들이 이를 겸직하였다.
왕의 자문에 응하는 임무 때문에 자주 왕에게 조정(朝政)의 옳고 그름을 논하거나 간언하는 입장에 있었으므로 사헌부와 사간원의 합계(合启)에도 왕이 그 간언(谏言)을 듣지 않으면 마지막으로 홍문관을 합하여 3사합계로 간언하였다.
연산군 때 잠시 진독청(进读厅)으로 고쳤다가 1506년(중종 1)에 복구하였고, 1894년(고종 31)에 경연청과 합하여 이듬해에 경연원(经筵院)이라 개칭하였다가 1896년에 다시 홍문관으로 고쳐서 칙임관(勅任官)의 대학사(大学士)·학사·경연관(经筵官), 주임관(奏任官)의 부학사(副学士), 경연관·판임관(判任官)의 시독(侍读)을 두었다.
홍문관 [弘文馆]
요약
조선시대에 궁중의 경서(经书) ·사적(史籍)의 관리, 문한(文翰)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.
본문
옥당(玉堂)·옥서(玉署)·영각(瀛阁)이라고도 하며, 사헌부(司宪府)·사간원(司谏院)과 더불어 이른바 언론(言论) 삼사(三司)라고 한다. 조선시대 청요직(淸要职)의 상징으로서 정승·판서 등 고위 관리들은 거의 예외없이 이곳을 거쳐갔다.
홍문관의 일은 본래 정종 때 설치한 집현전(集贤殿)에서 맡아 하였는데, 집현전 학자들 가운데 세조의 왕위찬탈에 반대하여 단종복위를 꾀한 사육신이 나왔다. 이에 세조는 집현전을 혁파하고 예문관(艺文馆)에서 그 기능을 맡게 하였다. 이후 1463년(세조 9) 양성지(梁诚之)의 건의에 따라 장서각(藏书阁)을 홍문관이라 하였으나 이때의 홍문관은 장서(藏书) 기관의 역할만 하였다. 학술·언론기관의 기능은 여전히 예문관에 속하였으나 온전히 수행되지 못하다가 1478년(성종 9) 옛 집현전의 직제를 예문관에서 분리하여 홍문관에 이양함으로써 비로소 학술·언론기관의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.
그 구성원은 영사(领事:정1품)·대제학(大提学:정2품)·제학(提学:종2품)·부제학(副提学:정3품)·직제학(直提学:정3품)·전한(典翰:종3품)·응교(应敎:정4품)·부응교(副应敎:종4품) 각 1명, 교리(校理:정5품)·부교리(副校理:종5품)·수찬(修撰:정6품)·부수찬(종6품) 각 2명, 박사(博士:정 7품)·저작(著作:정8품) 각1명, 정자(正字:정9품) 등인데, 3정승을 비롯해서 경연청(经筵厅)과 춘추관(春秋馆) 등의 관원들이 이를 겸직하였다.
왕의 자문에 응하는 임무 때문에 자주 왕에게 조정(朝政)의 옳고 그름을 논하거나 간언하는 입장에 있었으므로 사헌부와 사간원의 합계(合启)에도 왕이 그 간언(谏言)을 듣지 않으면 마지막으로 홍문관을 합하여 3사합계로 간언하였다.
연산군 때 잠시 진독청(进读厅)으로 고쳤다가 1506년(중종 1)에 복구하였고, 1894년(고종 31)에 경연청과 합하여 이듬해에 경연원(经筵院)이라 개칭하였다가 1896년에 다시 홍문관으로 고쳐서 칙임관(勅任官)의 대학사(大学士)·학사·경연관(经筵官), 주임관(奏任官)의 부학사(副学士), 경연관·판임관(判任官)의 시독(侍读)을 두었다.
全部回答
- 1楼网友:慢性怪人
- 2021-04-13 20:51
3
- 2楼网友:执傲
- 2021-04-13 20:33
弘文馆,官署名。唐代始设。唐武德时初置修文馆,后改为弘文馆。武后时曾一度改为昭文馆,以宰相一人兼昭文馆大学士。有学士、直学士,以他官兼任,另以给事中一人主持馆务。学士掌详正图籍,教授生徒。凡朝廷有制度沿革,礼仪轻重,得参议。
我要举报
如以上回答内容为低俗、色情、不良、暴力、侵权、涉及违法等信息,可以点下面链接进行举报!
点此我要举报以上问答信息
大家都在看
推荐资讯